대전을 사람의 만남이 아름다운 도시로,
열린시대 새 지방자치를 만들어갑니다.
2024년 제22대 총선이 4월 10일에 예정되어 있습니다. 회원여러분은 사전투표 하셨나요?
4년마다 돌아오는 총선이지만 바뀌는 것이 무엇인지, 공약은 왜 그대로인지 아쉬운것이 항상 많습니다.
이번 총선은 정권 심판과 정권 지지 라는 양쪽의 입장이 강조되면서 정책이 많이 강조되지 못했습니다.
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에서는 회원 및 시민과 함게 정치 이야기를 나누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습니다.
4월 4일 저녁에 진행한 사업은 [디자인으로 보는 선거 품평회] 였는데요.
![]()
공약을 보기 위해 모이는 것은 너무 무거울 것 같아서 조금은 가볍게 후보들의 사진, 폰트, 배치, 색상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었습니다.
![]()
유성구 어은동 세러데이커피에서 모인 시민과 함께 선거 공보물을 펼쳐두고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.
먼저 지역구 후보들 중심으로 이야기를 나눴는데요.
![]()
남성 후보들의 머리스타일이 다 비슷하고, 공보물의 구도가 비슷하다는 이야기부터, 각자 강조하고 싶은 메세지가 무엇일지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습니다. 전형적인 선거공보물 부터, 공익광고 스타일, 잡지 스타일 등 다양한 공보물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공약도 살펴보게 되었습니다.
공약이 잘 안보이는 후보도 있었고, 메세지가 명확하게 전달되는 후보도 있었습니다.
일부 후보들의 공보물 오타나 잘못된 정보를 찾아내기도 했습니다.
지역구 후보 공보물을 살펴본 뒤에는 정당 공보물을 확인했습니다. 정당공보물에서는 의견이 확 나뉘었는데요.
비례 후보의 특성을 강조한 부분을 긍정적으로 해석하신 분도 있었고, 손글씨 같은 눈에 띄고 일관성 있는 디자인이 호평을 받기도 했습니다.
표지의 디자인이 영화 포스터 같은 공보물도 호평을 받았습니다.
![]()
![]()
다양한 이야기를 즐겁게 나누며 투표도 해보고, 다가올 투표에 대한 이야기도 자연스럽게 나눴습니다.
디자인을 주제로 가볍게 모여서 후보들과 정당들의 공약과 미래 지향까지 심도깊에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.
앞으로는 더 많은 회원과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준비해보겠습니다